야오간 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오간 위성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발사한 일련의 정찰 위성으로, 광학 촬영, 합성개구면레이다(SAR), 전자 정보(ELINT) 수집 등의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젠빙(JB) 시리즈로 명명되며, 젠빙-5, 젠빙-7, 젠빙-8, 젠빙-9, 젠빙-10, 젠빙-11, 젠빙-12와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야오간 위성은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해상 감시 및 대함 미사일 표적 지정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2006년 야오간 1호 발사를 시작으로 다수의 위성이 발사되었으며, 발사 기록과 궤도 정보가 공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인공위성 - 베이더우
베이더우는 중국이 개발한 위성 항법 시스템으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3단계에 걸쳐 개발되어 35기의 위성을 통해 전 세계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구축되었으며, GPS, GLONASS, 갈릴레오와 함께 대표적인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 중 하나이다. - 중국의 인공위성 - 쉰톈
쉰톈은 다양한 파장으로 우주를 관측하는 망원경으로, 외계 행성 직접 영상화, 행성 형성 및 진화 연구, 원시 행성계 원반 탐사 등을 위해 고감도 테라헤르츠 검출 모듈, 다중 채널 이미저 등 5개의 관측 장비를 갖추고 외계 행성의 특성 파악 및 우주 연구에 기여할 예정이다. - 창정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창어 3호
2013년 달의 폭풍의 바다에 착륙한 중국의 무인 달 착륙선 창어 3호는 중국 최초로 달 착륙 및 탐사 로버를 성공적으로 운용하며 달 표면 조사, 우주 환경 감지, 월면 천체 관측 등 다양한 과학적 목표를 수행했고, 현재까지도 운용되며 달 탐사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창정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베이더우
베이더우는 중국이 개발한 위성 항법 시스템으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3단계에 걸쳐 개발되어 35기의 위성을 통해 전 세계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구축되었으며, GPS, GLONASS, 갈릴레오와 함께 대표적인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 중 하나이다. - 정찰위성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정찰위성 - 아리랑 5호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SAR 관측 위성으로, 2013년 러시아에서 발사되어 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 재난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야오간 위성 | |
---|---|
개요 | |
이름 (한자) | 遥感卫星 (Yáogǎn Wèixīng) |
이름 (영어) | Yaogan |
유형 | 정찰 위성 |
상태 | 활동 중 |
소속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운용 기관 | 상하이항천기술연구원(SAST) 중국공간기술연구원(CAST) |
임무 | |
목적 | 정찰 |
개발 및 발사 | |
첫 비행 | 2006년 4월 26일 |
성공 횟수 | 149 |
실패 횟수 | 1 |
발사 장소 | 타이위안 위성 발사 센터(TSLC) 주취안 위성 발사 센터(JSLC) 시창 위성 발사 센터(XSLC) 원창 우주 발사 센터(WSLS) |
발사체 | 창정 2C 창정 2D 창정 4B 창정 4C 창정 5호 창정 6A |
관련 정보 | |
설명 | 중국 군사 정찰 위성 프로그램 |
2. 역사적 배경
1996년 제3차 타이완 해협 위기 당시, 미국 해군의 항공모함 전단 파견에 대응하여 중국은 전자 정보(ELINT) 수집 능력을 포함한 군사적 감시 및 정찰 능력 강화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이후, DF-21 대함 탄도 미사일과 같은 첨단 무기 체계 개발과 함께, 야오간 위성 시리즈를 통한 해양 감시 및 정찰 능력 확보에 주력해 왔다.
야오간 위성은 크게 광학 촬영 위성, 합성개구면레이다(SAR) 위성, 신호 정보(ELINT) 수집 위성의 세 종류로 나뉜다.
1970년대 후반부터 중국과학원(CAS)을 중심으로 합성개구면레이다(SAR) 기술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1980년대에는 우주 기반 SAR 시스템 개발이 본격화되었다. 1995년에는 젠빙-5(Jianbing-5, 尖兵-5) 시리즈 위성 개발이 승인되었고, 이는 야오간 프로그램의 첫 번째 위성이 되었다.
3. 위성의 종류 및 특징
위성 종류 개발 기관 주요 위성 특징 광학 촬영 위성 중국우주기술연구원(CAST) 젠빙-6, 9, 10, 11, 12호 등 합성개구면레이다(SAR) 위성 상하이항공기술연구원(SAST) 젠빙-5, 7호 등 전천후 감시 가능, 구름이 많은 지역에서 유용 신호 정보(ELINT) 수집 위성 중국우주기술연구원(CAST), 상하이항공기술연구원(SAST) 젠빙-8호, CX-5(촹신-5) 등 3개 위성이 한 그룹으로 운용, 해상 함정의 레이더 신호 탐지 및 위치 추적에 사용 목적 불분명 위성
이 외에도 목적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위성들도 있다.
3. 1. 합성개구면레이다(SAR) 위성
젠빙-5 시리즈(JB-5)는 중국 최초의 우주 기반 합성개구면레이다(SAR) 위성이다. 중국 인민해방군(PLA)의 자금 지원을 받아 개발되었으며, L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여 5미터 수준의 해상도를 제공한다.[9] 2006년 4월 야오간 1호를 시작으로 2010년 8월까지 총 3기의 젠빙-5 위성이 발사되었다.[9] 야오간 1호는 2010년 2월 4일경 파편화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고속 충돌이 아닌 내부 폭발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11]
젠빙-7 시리즈(JB-7)는 궤도 주기 97분의 중국 군사 레이더 정찰 위성으로, 중국 과학원(CAS)에서 설계한 측면 시야 SAR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10][12] 2009년 4월 첫 발사를 시작으로 2014년 11월까지 총 4기의 젠빙-7 위성이 발사되었다.[10][12] 젠빙-7급의 세 번째 위성은 2013년 10월에 발사되었으나, 2021년에 통제되지 않은 궤도 감쇠로 대기권에 재진입했다.[13]
젠빙-5 및 젠빙-7 시리즈의 후속 모델로 추정되는 위성들도 발사되었다. 2015년 11월에 발사된 야오간 29호는 젠빙-5 시리즈의 현대화된 후속 기종으로 보인다.[8] 또한, 야오간 33호와 야오간 33R, 야오간 34호, 야오간 34-02호 등도 젠빙-5 및 젠빙-7급 SAR 정찰 위성의 후속 기종으로 추정되지만, 구체적인 제원은 공개되지 않았다.[14] 특히 야오간 34호와 야오간 34-02호는 기존 야오간 시리즈 위성과는 다른 특이한 궤도를 가지고 있어, 새로운 임무를 띤 신형 위성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3. 2. 광학 촬영 위성
젠빙-6 계열은 젠빙-5 계열의 SAR 정찰 능력을 보완하는 광학 영상 기능을 제공하며, 해상도가 0.8 미터 수준이다.[9] 젠빙-6 위성은 China SpaceSat Company Ltd.가 개발한 CAST2000 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10] 2022년 7월까지 6기의 젠빙-6급 야오간 위성이 저궤도(LEO)에 발사되었다.[10] 볼리바르 우주 기구는 베네수엘라 원격 감지 위성 1 (VRSS-1)을 발사하기 위해 중국과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중국의 첫 정찰 위성 수출이었다. VRSS-1은 젠빙-6 위성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다.[10]
젠빙-9 계열은 젠빙-6 계열의 후속 모델로 추정되며, 더 높은 고도(1,200 km)에서 운용되어 저해상도 매핑 및 지역 감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10][16][17] 젠빙-9급의 광학 탑재체는 창춘 광학정밀기계물리연구소에서 개발되었다.[17][18] 2009년 12월부터 2015년 8월 사이에 5기의 젠빙-9급 야오간 위성이 발사되었다.[10]
젠빙-10, 11, 12 계열도 광학 영상 기능을 제공한다.[19][21][22] 젠빙-10급과 젠빙-6급은 CAST2000 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19] 젠빙-10급 위성은 시안 광학정밀기계연구소의 광학 영상 시스템을 탑재했다.[19][20] 2008년 12월부터 2014년 9월 사이에 3기의 젠빙-10급 위성이 발사되었다.[19] 2012년 5월부터 2015년 11월 사이에 2기의 젠빙-11급 위성이 발사되었다.[21]
3. 3. 전자 정보(ELINT) 수집 위성
젠빙-8(JB-8) 시리즈는 하나의 주 위성과 두 개의 부 위성으로 구성되어 3개씩 발사되며, 미국의 해군 해양 감시 시스템(NOSS)과 유사하게 해양 감시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30] 이 위성들은 서로 느슨하게 대형을 이루어 비행하며, 각 위성에서 전파 신호의 도착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송신기를 찾는다.[9][31][32] 2022년 5월 현재 젠빙-8 삼중 위성은 총 9번(총 27개 위성) 발사되었다.
촹신-5(CX-5)급 위성은 시창 위성 발사 센터에서 발사된 유일한 야오간 위성으로, 젠빙-8급과 유사하게 3개씩 발사되어 ELINT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목적은 대부분 비밀에 부쳐져 있다. 분석가들은 이 위성들이 미국의 항공모함 타격단과 같은 함대에 대한 DF-21D, DF-26과 같은 대함 탄도 미사일 공격을 지원하기 위해, 고고도 그룹의 ELINT 위성으로 함대 위치를 대략적으로 파악하고, 궤도 경사각 35° 그룹으로 미사일 유도에 필요한 고정밀 위치 측정을 수행하려는 의도로 추정한다.[37][38] 이는 중국이 동중국해 또는 남중국해에서 미국과의 군사 충돌을 주안점으로 위성 시스템을 정비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3개 위성 그룹은 거의 동일한 궤도에서 3개의 위성이 100km 정도 떨어져 비행하며, 1기의 로켓으로 동시에 발사된다. 이러한 운용 형태는 각 위성으로의 전파 도달 시간차(Time Difference Of Arrival)로부터 지상의 전파 송신원(특히 레이더)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함이다.[39]
궤도 고도와 경사각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뉜다.
4. 발사 기록
지정